분류 전체보기384 웹 품질 확인 & 개선 도구 라이트 하우스 (Lighthouse) 구글은 크롬 확장 프로그램과 노드모듈로 Lighthouse라는 웹 품질 확인 도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https://developers.google.com/web/tools/lighthouse?hl=ko Lighthouse | Tools for Web Developers | Google Developers Learn how to set up Lighthouse to audit and improve your web apps. developers.google.com 이곳으로 이동해서 Lighthouse 설치 버튼을 클릭 합니다. 그럼 크롬 웹스토어 화면으로 이동하는데 이곳에서 Lighthouse를 설치합니다. 그리고 평가하고자 하는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저는 제 블로그로 가보겠습니다. 그리고 우측 상단에 .. 2020. 6. 18. Tistory에 구글 애드센스 광고 올리기 (AdSense) 오늘 일어나보니 반가운 메일이 와있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에 광고게재 요청을 한지 일주일쯤 된 것 같은데 다행히 한방에 통과가 되었네요. 이제 통과가 되었으니 광고를 등록해보겠습니다. tistory에는 플러그인으로 구글 애드센스를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블로그 관리 화면에서 좌측 하단에 플러그인을 클릭하면 플러그인 메뉴로 이동이 되는데 그곳에서 구글 애드센스 (반응형) 을 클릭합니다. 이곳에 이제 광고 형태를 선택한 뒤에 애드센스 코드를 입력하게 됩니다. 애드센스 코드를 가져오기 위해 애드센스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곳에서 디스플레이 광고를 클릭해서 광고 만들기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해당 광고의 이름을 좌측 상단에 작성해주시고 반응형 광고 크기의 설정으로 만들기버튼을 클릭합니다. 저는 '상단광고' 라는 이.. 2020. 6. 17. Homebrew 설치 homebrew 는 매우 간편하면서 쉬운 macOS용 패키지 관리 시스템입니다. 테스트 자동화 셋팅을 할 때도 homebrew로 설치를 하는 패키지들이 꽤 있는데 이번에는 이 homebrew를 설치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homebrew 사이트로 먼저 이동해봅니다. https://brew.sh/index_ko Homebrew 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or Linux). brew.sh 친절하게 터미널에 설치 커맨드를 알려줍니다. 복사해서 터미널창에서 실행해봅시다. 그럼 현재 맥북 비밀번호를 묻고 비밀번호 입력 후 return키를 입력하면 설치가 진행됩니다. 중간에 Command Line Tools for Xcode가 다운되는데 시간이 약간 걸리니 당.. 2020. 6. 14. 제우스 미니빔 사용후기 (ZEUS A300) 아이들 때문에 TV를 예전에 치웠는데 큰 화면에 대한 아내와 저의 로망이 있어 이번에 빔 프로젝터를 구매해보자! 하고 이것저것 검색을 많이 했습니다. 가정용 빔프로젝터가 정말 많더라구요~ 다만 아이들 때문에 아이들 눈에 띄지 않게 미니빔을 선택하기로 했고 제가 가끔 PS4나 스위치 연결을 해서 할 수 있으니 화질도 그렇게 나쁘지 않았으면 했습니다. 그렇게 오래동안 찾다가 30만원대로 가격을 좁히면서 눈에 들어온건 제우스 미니빔이였습니다. (근데 왜 저스라고 하는곳도 있을까 사실 엄청 고민) 일단 정말 작습니다. 휴대가 용이하고 내장 배터리도 있어서 전원이 연결되지 않아도 일정시간은 볼 수 있어요. 크기가 작아서 별다른 기능이 없을 것 처럼 보였지만 안드로이드 OS를 내장하고 있어서 구글플레이도 이용할 수.. 2020. 6. 14. 스마트폰 OS별 점유율을 알고 싶어요 - StatCounter 현재 서비스중인 앱이 있다면 해당 앱의 OS별 비중을 알고 있는 것은 매우 도움이 됩니다. 어느 한쪽의 OS점유율이 높다면 테스트 우선순위를 그쪽 OS로 재설정 하여 이슈의 파악 시점이 더 빨라지거나 많아질 수 있기 때문이죠. 이런건 내부 DB를 통해 알 수 있겠지만 이런 상황이 아니라 최초 서비스 오픈 전이나 전반적인 우리나라의 OS분포를 보고 싶을 때는 아래 사이트에서 도움을 많이 받았었습니다. 다만 국내 뉴스기사나 이런것들과 비교해 볼때는 점유율 차이가 꽤 날 때도 있습니다. 참고용으로 대략 어느쪽이 우세하구나, 어느걸 가장 많이 쓰는구나 정도의 파악 용도로는 문제가 없을 듯 합니다. https://gs.statcounter.com/ StatCounter Global Stats - Browser, .. 2020. 6. 14. 맥북 (mac OS) 포맷 하기 집에서 사용하던 맥북에어가 어느새인가 아내의 손으로 넘어갔는데 오랫만에 한번 만져봤더니 실행속도도 느리고 부팅도 안될때가 있어서 포맷을 하기로 했습니다. mac OS의 포맷은 윈도우보다 훨씬 쉽고 간단합니다. 맥북을 킬 때 command + R 키 를 누르고 있으면 됩니다. 그러면 애플로고가 표시된 로딩창이 표시되고. 로딩이 완료되면 macOS 복구 화면으로 이동됩니다. 여기서 포맷하려는 계정을 선택해서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시고 return키를 누르면 macOS 유틸리티 화면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이곳에서는 디스크 포맷을 한 뒤에 macOS를 설치하는 순으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일단 디스크 유틸리티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이곳에서 데이터를 포맷합니다. 포맷이 완료되면 창을 닫고 다시 macOS 유틸리티 화.. 2020. 6. 14. 이전 1 ··· 59 60 61 62 63 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