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41 QA 처우가 불 만족스럽다면 지금 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 QA업무를 한지 3~4년쯤 되어서 이제 막 주니어 티를 벗어나려고 할 때 저는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왜 QA가 중요하다는걸 모르는거지?" "왜 QA를 단순 테스터 취급하는거지?" "왜 QA에 대한 처우가 이렇게 낮은거지?" 이제 어느정도 경력이 쌓이고 일좀 해봤다는 생각이 드니까 사방에서 불만이 섞인 생각이 터져나오는 것이였습니다. 그래서 그 때 당시의 저는 이런 불만을 외부로 표출하고 다녔습니다. 내가 겪고 있는 부당함을 알리고 개선을 촉구하기 위해서 였죠. 우리를 좀 봐달라고, 우리가 이렇게 열악한 환경에서 일을 하고 있다고 말이죠. 하지만 이러한 행동은 저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불행하게도 이런 사실을 깨닫는데에는 3~4년 정도가 더 걸린것 같습니다. 시간은 흘러 이제 .. 2024. 1. 10. 2023년 나의 QA Engineer 커리어 회고 2024년이 밝았습니다~!! 2023년은 휴식과 새로운 출발의 한 해였는데요. 새롭게 출발하는 만큼 많은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어떤 경험을 통해 성장을 하게 되었는지 한번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나는 무엇을 꾸준히 잘 하고 있었을까? ■ QA Weekly를 단 한번의 결석 없이 개근 포스팅 하였습니다. 이제는 습관을 넘어서 의무에 가까워져서 일요일이 되면 자연스럽게 위클리를 작성하고 있는 저를 볼 수 있었습니다. 가끔씩 "잘 보고 있습니다", "좋은 정보 얻어갑니다"라는 댓글을 볼 때마다 뿌듯함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어서 저도 열심히 올릴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사실 가장 큰 이점은 제가 매주마다 많은 정보들을 얻어갈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위클리는 평균 4개 정도의 포스팅으로 올라가는데 4개의.. 2024. 1. 2. Shift Left의 다양한 효과들 Shift Left라는 접근 방식은 2001년 래리 스미스(Larry Smith)에 의해 최초로 등장한 테스트 접근 방식 중 하나입니다. Shift Left는 QA를 릴리즈 프로세스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개발 프로세스의 일부로 포함하여 개발 초기부터 QA 활동을 해야 한다는 테스트 방식입니다. 릴리즈 프로세스라면 이런 모습을 하고 있겠지만 Shift Left를 할 경우 이렇게 좌측으로(Left) QA의 활동시점과 영역이 이동되는 것을 뜻하게 됩니다. (해당 단계는 조직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으며 Shift Left는 1단계만 이동되는 것 또한 아닙니다. 필요한 만큼 Shift 될 수 있습니다.) 릴리즈 프로세스는 제품의 출시를 앞두고 진행되는 프로세스이기 때문에 개발의 후반부에 진행되는 프로세스입니다.. 2023. 12. 13. 애자일 조직에서 QA팀의 역할 (The role of the QA team in the Agile software development) 채용 시장을 보면 많은 조직들이 애자일 문화를 경험한 것을 우대하거나 필수 조건으로 내세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는 그만큼 IT업계 전반에 깊숙이 자리 잡은 개발 문화라고 볼 수 있겠는데요 이러한 애자일 조직에서의 QA는 어떤 모습을 가지고 있어야 할까요? 먼저 애자일이란 무엇인지 이야기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애자일에 대한 내용은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검색만 해봐도 "민첩한 소프트웨어 개발" 이라고는 되어있는데 과거에는 이것이 정확히 무엇을 말하는지 잘 알지 못했습니다. 단순히 빨리, 자주 개발하면 되는 것인가? 그렇다면 폭포수와 어떤 차이가 있는것인지, 단순히 폭포수보다 기능 범위를 작게 해서 자주 빠르게 릴리즈 하면 되는 것인지 혼동스러웠죠. 제가 혼동스러웠던 이유는 이것을 프.. 2023. 11. 29. 변하지 않는 것은 없습니다. QA도 그렇게 되어야 합니다. 어떤 업무든지 그것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일련의 규칙들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규칙들은 해당 업무를 수월하게 진행 할 수 있게 돕거나 원만한 협업이 진행 될 수 있도록 돕게되죠. QA업무에도 이러한 규칙들이 존재합니다. 업데이트 릴리즈 프로세스라던지 테스트케이스 작성규칙, 버그티켓 작성 규칙 등이 해당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러한 규칙은 회사마다 팀 빌딩 시 프로세스가 다를 수 있어 차이는 있으나 한 회사에서는 불변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프로세스를 벗어난 예외적 상황을 요청하거나 기존에 하지 않았던 업무를 요청할 경우 방어적인 태도를 보인적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예전부터 꾸준히 드는 생각은 "조직은 끊임없이 변하고 있는데 QA조직은 변화하지 않는 것이 옳은 것인가?" 라는 것이였습니다. 애자.. 2023. 6. 7. 제 2회 QA Korea Conference (QA 코리아 컨퍼런스) 개최 올해 처음 선을 보였던 QA Korea Conference가 2회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2023 QA Korea Conference 소프트웨어 품질 컨퍼런스 litt.ly 이번 회차에는 뉴스기사로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QA 코리아 컨퍼런스 2023' 열린다...대학생 무료 - 포인트데일리 [포인트데일리 조혜승 기자] QA 코리아(Korea)는 오는 7월 29일과 30일 이틀간 온라인 \'2nd QA 코리아 컨퍼런스 2023\'을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 ·QA 코리아가 행사를 주최하며 우아한형제들과 아드리 www.thekpm.com 그리고 이번에는 우아한 형제들에서 스폰서 업체로 추가 참가해주셨네요. 많은 곳에서 스폰서 참여를 해주셔서 더 큰 행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회차는 1회때 와.. 2023. 5. 30. 이전 1 2 3 4 5 ··· 7 다음